티스토리 뷰

교통사고 사망자수의 감소 추세

한국의 교통사고 사망자수는 1990년대 초반을 정점으로 꾸준히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2000년 이후 인구 10만 명당 사망자수는 21.8명에서 2024년 4.9명으로 약 4분의 1 수준으로 줄었습니다. 이런 감소는 도로교통안전 정책과 시민들의 안전 의식 향상에 기인한 것으로 평가됩니다.

한국 교통사고 사망자수 추이

2023년 교통사고 사망자 현황

2023년에는 교통사고 사망자수가 2,551명으로 역대 최저를 기록했습니다. 인구 10만 명당 사망률도 4.9명으로, OECD 국가 평균인 5.3명보다 낮아졌습니다. 승차 중 사망자가 약 35.6%(909명), 보행 중 사망자는 34.7%(886명)로 두 군데에서의 사고가 대다수를 차지합니다. 특히 65세 이상 고령자의 사망자 비중이 전체의 약 절반(48.6%)에 달해 고령자 교통안전이 중요한 과제로 남아있습니다.

사고 유형 및 가해 차종

가장 많은 사망 사고는 승용차, 화물차, 이륜차 순으로 발생했으며, 이륜차와 자전거, 개인형 이동장치 사고 사망자는 각각 큰 폭으로 줄었습니다. 이는 정부의 차량 안전 규제 강화와 관련 안전 정책의 효과로 풀이됩니다.

한국 교통사고 사망자수 추이

국제 비교 및 시사점

한국의 교통사고 사망률은 국제적으로 여전히 높은 편에 속합니다. 2021년 기준으로 영국, 일본과 비교하면 약 두 배 가까운 수치이며, 미국 다음으로 높은 수준입니다. 따라서 추가적인 교통안전 대책과 고령자 안전 강화가 필수적입니다.

결론

한국의 교통사고 사망자 수는 지난 30년간 대폭 감소해 왔고 특히 최근 11년 연속 감소하며 최저 수치를 기록했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고령자 사망 비율이 높고 국제적인 기준에서는 개선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정부와 국민 모두의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이 필요한 분야입니다.


한국 교통사고 사망자수 추이
공지사항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10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